언론보도

2025년 9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9-26 11:04

본문

2025년 9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큰 폭 상승 이후 조정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 약세 전망”
등록일 : 2025.09.25


유동수 사진

2025 09 23 금 그래프


국제 금값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초강세장을 보였다기술적인 분석도 상향 흐름을 나타내면서 한때 최고 $3,750/oz 선까지 상승하는 사상 유례없는 초강세를 보였다.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미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 속에서 연준은 고용과 실업 지표의 악화 영향으로 0.25% 기준금리 인하를 발표했다추가적으로 올해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열어뒀던 것이 금 가격의 상승세에는 더욱 탄탄한 기반이 됐다이와 함께 부정적인 경기 지표도 금리 인하 정책에 영향을 주면서 다소 뚜렷한 비둘기파적인 금리 정책 흐름을 보였다.

 

 

·우 전쟁의 심화와 주요 선진국의 정치·경제 불안정성
최근 프랑스와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재정 악화와 정치적 불안정성 영향이 금 가격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또한 러·우 전쟁 역시 더욱 심화되고 확대 양상을 보이는 것이 안전자산의 수요를 촉발했다한편인도와 중국의 디왈리 축제와 추석 명절의 현물 수요 상승도 이러한 상승 흐름에 큰 영향을 줬던 것으로 분석된다.

 

 

전망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흐름이 최근의 국제 금 가격에 강력한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이러한 상황은 당분간 지속적으로 금값 강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또한 고용과 실업 지표 및 경기 지표도 다소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금 가격의 상승 흐름에는 꾸준히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인도와 중국의 현물 수요 증가와 유럽발 정치·경제의 불안정성이 금 가격에는 추가적인 호재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또한 러·우 전쟁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정성 또한 확대될 가능성이 커 금 가격이 쉽게 조정 국면으로 진입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세계 정치·경제 상황의 영향으로 국제 금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는 탄탄한 흐름을 보일 것이다단기적으로 매우 강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다만 기술적 분석상 과매수 상황에서 차트에서 비롯된 매도세와 차익 실현 매물의 출현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