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4년 11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414회 작성일 24-11-20 11:12

본문

2024년 11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4.11.19


유동수 사진

금 시세 전망


금 가격 움직임

금값은 11월 시작 지점에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미 대선이 마무리된 11월 6일부터 하락 기조가 형성되면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2,600/oz 선이 단숨에 무너지고 $2,500/oz 선의 하향 돌파가 시도됐으나 소폭 상승 반전해 하락 기조는 멈추고 관망세로 돌아섰다.

 

 

미국 대선 결과 이후 불확실성 제거

미 대선이 트럼프의 당선으로 빠른 시간에 확인되면서 대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됐고금융과 금 시장은 빠르게 안정세를 찾았다또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경기 낙관론으로 이어지면서 안전자산보다 위험자산의 선호 현상을 부추겼고이는 금 가격의 하락 기조에 크게 일조했다.

 

 

미 고용·실업 지표 양호와 인플레이션 우려감 재등장

미국의 경제 지표에서 고용과 실업 부문이 양호하게 발표되고 있고소매 판매도 상승한 것으로 나오면서 기준금리 인하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이러한 지표들이 국제 금값의 하락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다만 중동과 러우전쟁의 영향이 다소 미미하게 적용되며 금 가격의 하락세를 저지하지는 못했다.

 

 

전망

단기적으로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미국 경기의 낙관론이 대두되고 있어 현재 금 가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2기 트럼프 정부 시작 전후에 경기를 희망적으로 보는 시각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금값에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최근의 경제 지표가 인플레이션 우려감을 확대시킬 수 있고여전히 고용과 실업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 정책의 흐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또한 앞으로 발표되는 경제 지표가 추가적으로 금 가격 상승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다만 중동과 러우전쟁의 영향과 각국 중앙은행의 매입 움직임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은 금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또한 큰 폭의 하락세가 어느 정도는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저가 매입세의 진입과 반발 매수 심리에 따른 상승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호재 없이도 큰 폭은 아니지만 $2,650/oz 선까지 상승 흐름을 이어갈 수 있는 탄탄한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