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105회 작성일 24-10-22 09:02본문
10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
등록일 : 2024.10.18 |

미 달러화 강세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흐름
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여전히 양호한 수준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것이 금리 인하의 폭을 낮추고 시기도 지연될 수 있다는 시장의 분석에 힘이 실리면서 국제 금 가격의 $2,700/oz 선 돌파가 무산되었다. 또한 현재의 상승 흐름 속에서 미 달러화 상승세의 영향으로 국제 금값은 상승 탄력을 이어가지 못하고 $2,650/oz 선을 중심으로 공방전을 이어갔다.
중국의 양적완화와 경기부양 정책 및 중동전쟁
최근 중국 정부의 양적완화를 통한 경기부양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의 현물 수요 증가가 예상되어 금 가격에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중국 증시가 16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폭등한 점은 금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추가로 여전히 이스라엘과 이란과의 전쟁이 상당한 규모로 지속되고 있어 국제 금 가격에는 탄탄한 지지 기반 역할을 했다.
전망
10월 말과 11월 초 인도의 디왈리 축제 기간으로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수준의 현물 수요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의 금리 인하에 따른 부양 정책의 영향 역시 금값의 상승 흐름에 영향을 줄 것이다.
최근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던 미 달러화도 일시적으로 다시 조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가격대로 하향 조정될 것으로 분석된다. 미 달러화의 하락 반전으로 금 가격은 상승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현재의 가격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일정 부분 바닥을 다지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나 현재의 높은 가격 수준으로 인한 현물 수요의 위축도 예상되기 때문에 차익 실현 매물의 진입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