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802회 작성일 24-06-17 09:20본문
2024년 6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4.06.14 |


주요 선진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흐름
유럽과 캐나다 등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25bp(0.25%) 인하를 하면서 금리 인하 정책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미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정책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면서 국제 금가격의 상승흐름에 좋은 영향을 주었다. 최근 제조업 경기가 다소 둔화되고 있다고 경제지표가 발표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기준금리 인하에 영향을 준 것이다. 여전히 미 연준은 경기 둔화에 대한 사전 조치의 일환으로 조기에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정책흐름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6월 미 비농업부문고용지수가 양호하게 발표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될 것이라고 분석에 영향을 받아 급락하는 시장분위기에 영향을 주었다.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중단
최근 중국의 경기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책과 부동산 부양책이 발표되면서 금 가격에 상승요인으로 작용을 하였다. 그러나 중국 중앙은행 금 매수 정책을 중지하였다는 뉴스가 확인되면서 6월 초순의 상승 흐름이 반전하면서 급락하여 $2,300/oz가 무너지는 폭락장세를 보였다. 중국으로부터의 매수 규모의 상당 부분이 중국 인민은행인 상황에서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중단은 금 현물 수요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이 폭락하였던 것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전망
최근 주요 선진국의 중앙은행은 연달아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미국 연준 역시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 사실화가 되고 있다. 다만 금리인하 시기가 언제 될 것인지가 시장 흐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은 여전히 경기가 양호한 상황이다. 특히 고용부문도 거의 완전고용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상보다는 늦게 또는 조속히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성급한 정책일 수도 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금리 인하 흐름으로 인한 호재가 다소 제한적인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인민은행이 금 매입을 중단한 상황이지만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부동산 정책 지원 흐름이 원자재 상품 가격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금 가격에는 호재가 될 것이다. 또한 미 달러화의 상승흐름도 기준금리 인하 흐름 상황에서 상승폭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 달러화 약세 영향으로 금가격에는 호재가 될 것이다.
6월 첫주 금요일에 금 가격이 폭락수준으로 1차 하락하였으나 추가 2차 하락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폭락으로 인하여 오히려 시장에 반발 매수가 진입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또한 미국 달러화의 하락반전으로 인하여 국제 금 가격은 상승반전 할 가능성이 보다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