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4년 4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030회 작성일 24-04-08 09:28

본문

2024년 4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4.04.04


유동수 사진


kitco 2024 4월


금값 움직임 
3월이 시작되면서 상승기조를 형성하였던 국제 금가격이 3월말까지 1개월 내내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특히 3월 말에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는 초강세를 보이며 최강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 주요 경제지표의 안정적 흐름 
최근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높은 금리 수준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또한 높은 고금리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실업 수준도 매우 양호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이러한 상황임에도 선제적 조치로 최근의 높은 고금리 수준을 인하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한 것이 국제 금가격의 상승세에 기반이 되었다.

 

 

또한 연준의 2% 수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여전히 달성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준금리가 인하 할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렸던 것이 금리 인하라는 호재로 적용되어 금 가격의 강세에 영향을 준 것이다.

 

 

아시아권의 현물 수요 상승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와 함께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권의 현물 수요 상승이 3월 내내 지속적으로 유입되었다중국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안전자산 수요 상승세가 시장에 반영되면서 금리 인하 흐름이라는 상승기류에 추가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아시아권의 불리온뱅크들의 재고도 크게 감소하면서 금 수요의 상승세를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전망
일반적으로 국제 금시장은 스퀴즈(공격적 매수를 통한 현물 시장 독점)방법을 통하여 시장을 조작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다그렇기 때문에 일부의 헤지펀드의 공격적 매수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반면 중앙은행과 아시아권의 현물 수요 상승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을 해야 한다다만 이러한 공격적 현물 매수세는 오래 지속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운 관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도 목표 인플레이션 상승률인 2%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그렇기 때문에 선제적 기준금리 인하조치는 오히려 시장에 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예상보다는 늦은 시점에 작은 횟수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분석된다기준금리 인하 정책이 예상보다는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현재 거의 완전고용에 가까운 고용과 실업 상황이 국제 금 가격에는 강한 지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적으로 아시아권의 강한 현물 매수세가 꾸준히 진입할 경우를 제외한다면 기술적인 분석상 단기적인 초강세 이후에 차익실현 매물의 진입 영향으로 조정국면에 접어들면서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점이다.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에 큰 폭으로 다시 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염두해야 할 타이밍으로 해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