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56회 작성일 25-07-15 13:40본문
2025년 7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5.07.14 |


미 연준의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와 견조한 고용지표
금값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나, 예상을 웃도는 미 고용지표 발표가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며 상승 폭을 제한했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동결 및 비둘기파적 발언은 유로존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 심리를 일부 자극했다.
미국 경제 지표와 연준의 통화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으로는 중동 지역의 긴장이 여전히 지속되며 안전자산인 금 수요를 꾸준히 지지했다. 또한 미국의 무역 정책과 관련해 주요국 간 관세 및 무역 협상 재개 움직임을 보였던 것이 불확실성을 더욱 키웠다. 종합적으로 금 가격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지정학적 불안정이라는 지지 요인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통화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큰 양상을 보였다.
전망
향후 2주간 금 시장은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 특히 다음 주로 예정된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CPI가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증폭되어 금값 상승을 견인할 수 있으나, 반대로 만약 상회한다면 금리 인하 지연 우려로 하방 압력을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예정된 주요국 정상회담에서 나오는 발언이나 합의 내용 역시 지정학적 긴장 완화 또는 고조에 따라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전반적으로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금값의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의 고용 및 실업지표, 그리고 여타 주요 경제 지표가 견조하게 발표될 경우에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값이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