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873회 작성일 24-03-05 09:12본문
2024년 3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4.03.04 |


양호한 미 주요 경제지표
최근 미국의 소매 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발표됐다. 이뿐만 아니라 생산자 물가지수도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이에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대한 우려감이 지속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주요 경기지표와 고용 및 실업 수준이 양호한 상황으로 발표되면서 연준의 입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를 빠르게 진행할 필요성이 감소됐다. 또한 미국의 주식시장도 활황으로 지속돼 국제 금 가격이 상승 여력에 힘을 실어주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상황이다.
미 연준(FOMC) 회의록
2월 22일에 공개된 연준 회의록에서도 기준금리의 인하 시기를 보다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높은 CRB 지수 등과 더불어 인플레이션 상승률의 2% 목표치가 여전히 미달된 상황에서 급하게 긴축재정 정책을 해소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것으로 연준은 인식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6월 경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며, 이는 금값의 상승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망
최근 미 달러화가 소폭 약세를 보이고 있고, 국채 수익률 역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의 변동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도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주식시장의 상승 흐름이 조정국면에 접어들면서 소폭 하락한다면 국제 금 가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심리적으로 $2,000/oz 초반 선의 가격대가 탄탄한 지지선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가격 하락에도 빠르게 반등하는 양상을 보이는 흐름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전히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 상승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와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흐름은 현재의 가격대에서 매우 강한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단기적으로 박스권 내에선 공방전이 지속될 것이며, $2,000/oz 선을 유지하는 강한 흐름 속 소폭이나마 강보합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