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오소클레이스, 래브라도라이트? 이거 어떤 문스톤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115회 작성일 24-03-08 09:26

본문

오소클레이스, 래브라도라이트? 이거 어떤 문스톤인가요?

 


글: 정영수 ㈜한미보석감정원 감별이사, GIA-GG, MV
등록일 : 2024.02.27


정영수



문스톤의 표기

문스톤(moonstone, 월장석)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매우 친숙한 광물 중 장석(펠드스파)에 속한 보석의 한 종류이다또한 보석에 대해 조금이라도 공부했거나 관심이 있다면 문스톤의 외관 및 색상굴절률로 바로 유추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힌두교 신화에 따르면 문스톤은 달빛이 굳어지면서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그래서인지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문스톤을 달빛과 연관 짓는 경우가 많다.

 

 

문스톤은 보석 감별서에 종명/변종명 순으로 오소클레이스 펠드스파/문스톤으로 표기되거나, ‘래브라도라이트 펠드스파/문스톤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본 감정원을 이용하는 고객 중 이 두 가지의 표기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문의가 종종 있어 기고를 통해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참고로 한미보석감정원(이하 한미감정원)에서는 기존의 오소클레이스/문스톤과는 다르게 GIA에서 표기하는 시스템을 준용하여 10년 전부터 종에 따라 래브라도라이트/문스톤(특수효과아둘라레센스)’로도 표기되고 있다.

 

 문스톤 1


그림 1. 오소클레이스 펠드스파/문스톤 나석과 제품

 

문스톤 2


그림 2. 래브라도라이트 펠드스파/문스톤 나석과 제품

 

 

펠드스파의 구분

진주와 함께 6월의 탄생석으로도 잘 알려진 문스톤은 장석 군에 속한다보석은 대개 종(, species)이나 변종(變種, variety)으로 분류하지만몇몇 종들은 군(, group)으로 분류되는데 장석(長石, feldspar)이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이 장석 군은 결정 구조가 비슷하여 유사한 특성을 갖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래브라도라이트(labradorite), 알바이트(albite), 올리고클레이스(oligoclase), 오소클레이스(orthoclase), 새니딘(sanidine), 마이크로클라인(microcline) 등이 여기에 속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석 군에 속하는 광물 종들은 화학 성분과 원소들의 치환 정도그리고 결정구조 등에 따라서 두 장석류로 크게 나뉘게 된다바로 알칼리 장석(alkali feldspar)과 사장석(plagioclase feldspar) 계열이다.

 

 

알칼리 장석은 동질이상(同質異像같은 화학 성분을 가진 물질이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결정구조를 이루는 것)을 나타내는데이에 속하는 종은 오소클레이스(정장석단사정계), 새니딘(단사정계), 마이크로클라인(미사장석삼사정계)이다사장석은 나트륨(Na)과 칼슘(Ca) 두 가지 주성분이 여러 가지 비율로 섞인 고용체(固溶體)이다. Na-사장석은 알바이트, Ca-사장석은 아노르타이트(anorthite)라고 불린다이 두 종은 성분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산출됨으로 인해 성분 비율에 따라 5개의 광물 종으로 다시 분류된다그 종은 다음과 같다알바이트올리고클레이스안데신래브라도라이트아노르타이트이다.

 

문스톤 3

그림 3. 장석 군(feldspar group)에 속하는 주성분에 따른 고용체의 종명

 

 

이중 문스톤은 주로 오소클레이스혹은 래브라도라이트드물게 새니딘의 변종명으로 불리는데, 2005년 이전에는 오소클레이스 펠드스파에 속하는 경우에만 변종명으로 문스톤이라는 용어가 사용됐다그러나 2005년 이후에는 GIA를 필두로 오소클레이스뿐만 아니라 래브라도라이트드물게는 새니딘 장석 중에서도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스톤 중에서 다양한 컬러의 신(muiticolor sheen)이 나타날 경우 변종명으로 문스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래브라도라이트 장석에 속하는 문스톤의 경우에는 투명하면서도 체색이 백색에서 무색이고매우 강한 블루 신(blue sheen)을 띨 때 상업명으로 레인보우 문스톤(rainbow moonstone)’이 사용된다그러나 이는 거래 시 사용되는 상업명이기 때문에 보석 감별서에는 문스톤으로만 기재하고 있다이처럼 문스톤은 종명이 오소클레이스이면서 래브라도라이트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문스톤의 특수효과아둘라레센스

일반적으로 문스톤을 떠올리면 특수효과인 아둘라레센스(adularescence)’를 쉽게 연상할 수 있다이 특수효과는 빛이 평평하고 얇은 층 사이로 입사할 때 각 매질에 따른 굴절률의 차이로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빛의 산란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회절 및 간섭그리고 확산을 일으켜 블루 신을 비롯한 다양한 색의 아둘라레센스라는 현상이 보이게 된다.

 

 

문스톤을 여러 방향으로 돌려보면 안개와도 같은 빛이 보석 표면 바로 아래에서 떠다니는 것처럼 소용돌이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런데 이러한 아둘라레센스는 20여 년 전부터 오소클레이스 종에서만이 아니라 다른 장석 군에서도 나타나고 있다일례로 캐나다의 래브라도(Labrador)에서 주로 발견되거나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되는 래브라도라이트 종에서도 밝은 체색 위에 다양한 색의 아둘라레센스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출처: GIA Homepage, Moonstone Description)

 

 

그렇지만 한미감정원은 진보에 따라 통일감을 주기 위해 래브라도라이트에서 나타내는 특수효과인 아둘라레센스는 래브라도레센스(labradorescence, 보통 밝은색의 무지갯빛으로 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변함물질에 있는 얇은 층들 때문에 백색광이 무지갯빛으로 분산됨)’로 표기하고오늘날 몇몇 사람들은 전통적인 문스톤보다 이를 더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상업명으로 레인보우 문스톤을 (2024년 2월부터코멘트에 부기하기로 결정했다.

 


문스톤 4


그림 4. GIA 홈페이지에 제시된 장석 군에 속하는 보석들로 종명과 변종명을 나열한 삽화

 

 

문스톤의 색상 및 효과

문스톤은 다양한 투명도와 더불어 청색은색백색 등의 아둘라레센스 효과를 띤다문스톤의 컬러 또한 녹색노란색오렌지색갈색회색검은색 등 매우 다양한 편이다또한 아둘라레센스와 함께 일부 문스톤은 캐츠아이로 불리는 샤토얀시(chatoyancy) 효과를 보이기도 하며때때로 드물지만 아스테리즘(asterism, 스타 효과)’를 띠는 경우도 있다. 

문스톤 5

그림 5. 아둘라레센스에 더하여 캐츠아이를 띠는 문스톤 나석

 

 

문스톤의 산지와 의미

문스톤의 산지는 미얀마와 스리랑카가 대표적인데이곳에서 최고 양질의 원석들이 산출된다그 밖에 인도마스가스카르브라질미국멕시코탄자니아캐나다알프스 산맥 등지에서 발견된다.

 

 

문스톤은 건강과 장수그리고 부를 상징하는 보석으로 잘 알려져 있다또한 쉽게 흥분하는 사람들에게는 감정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보석을 취급하는 딜러와 주얼리 업계에 종사하는 이들이 문스톤의 의미와 상징 이외에도 펠드스파의 종명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한 후 고객에게 응대한다면 보다 큰 신뢰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물론 다른 직종에서도 신뢰는 중요한 덕목이지만 보석 직종만큼 신뢰와 믿음이 중요한 업종은 드물다고 생각한다.

 

 

한미감정원 역시 보석 시장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모니터링해 보다 건전하고 올바른 거래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

 

 

요약

문스톤의 종(, species)명은 2005년 이전에는 오소클레이스 펠드스파에 국한되었으나그 이후에는 GIA를 필두로 래브라도라이트 펠드스파 중에서도 문스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미감정원도 2014년부터는 보석 감별서에 래브라도라이트/문스톤도 표기하고 있다.) 다만오소클레이스 펠드스파 문스톤의 경우에는 외관의 체색이 다양하나래브라도라이트 펠드스파의 문스톤은 체색이 백색에서 무색인 것만 이에 해당한다또한 래브라도레센스 효과가 강한 래브라도라이트 문스톤은 상업명으로 레인보우 문스톤으로 불리고 있다. (한미감정원은 2024년 2<span 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