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305회 작성일 24-03-27 09:33본문
2024년 3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4.03.22 |


미 연준 기준금리 인하 분석 우세 흐름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여전히 양호한 수준으로 발표되고는 있지만, 일부 지표에서는 경기 둔화 또는 침체 흐름을 보일 수도 있다는 해석이 강하게 대두되면서 국제 금 가격은 박스권을 상향 돌파하는 초강세를 보였다. 이에 5월 금리 인하는 어렵더라도 6월경에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렸다. 또한 3차례 또는 적어도 2차례 정도 올해 내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예측이 대세 흐름을 보였고, 이는 금값의 상승세에 크게 일조했다.
중국과 인도 및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
전 세계 금 실물 수요 1위와 2위 국가인 중국과 인도의 현물 매수세가 기준금리 인하 예상 분위기에 편승했다. 이에 국제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3차례 이상 상승 기록하는데 일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도 일부 합류하면서 국제 금 가격은 7차례 연속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단기적으로 급격한 금 현물 수요의 유입이 국제 금값의 탄탄한 상승세에 주요 지지 요인이 되었다.
전망
국제 금 가격이 3월 들어 급격하게 상승한 배경에는 미국 달러화의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이후 다시 미국 달러화가 상승 반전할 경우, 국제 금 가격은 크게 조정받을 수 있는 여지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진 급격한 상승으로 생긴 조정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다시 큰 폭으로 진입한다면 상승 폭의 상당 부분을 반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여전히 예단하기 어려운 현재의 분위기도 이러한 조정 국면에서 다소 큰 폭의 하락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중국과 인도의 현물 수요 시장 진입도 현재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한계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중앙은행의 매수세 역시 일시적 중단이 예상되는 시점이다. 다만 중동과 우크라이나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의 상승과 중국의 금융권 불안 뉴스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지만 않는다면 현시점에서 추가적인 상승세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단기적으로는 조정국면 흐름 속에서 하락 반전이 예상되며, $2,100/oz 선을 중심으로 새로운 금 가격의 향방을 관망하는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 보더라도 골든 크로스가 심화되는 급격한 상승 이후, 다시 하락 반전하는 변동성의 흐름이 예상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