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597회 작성일 24-01-26 09:59본문
2024년 1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4.01.25 |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 지연 분위기
최근에 발표되는 경제 지표가 양호하게 발표되면서 미 연준이 기준금리의 인하 시점을 늦출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 국제 금값은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다만 여전히 기준금리의 수준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는 것에는 인식을 같이 하면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이다. 현재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1%대로 다소 높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고, 미 달러화의 강세 흐름도 계속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은 $2,020 /oz 선에서 크게 반등하지는 못했다.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 상승
이란-파키스탄 간에 상호 공습이 이어지면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최고조에 달해있다. 특히 경제적 가치가 높은 호르무즈 해협 부근에서 발생되고 있는 전쟁이기 때문에 전 세계가 매우 긴장된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홍해 지역의 후티 반군이 여전히 강도 높은 테러를 지속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금값에는 상당한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불어 현재 장기화되고 있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금 가격에 계속해서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
전망
최근 미국의 경제 지표가 양호하고, 고용과 실업 관련 지표 역시 매우 탄탄한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는 $2,000/oz 위에서 형성된 국제 금 가격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미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의 상승 영향으로 하방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흐름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중동 지역의 전쟁 확대 움직임과 추가적인 연합군 또는 중동 국가의 합류로 인해 분쟁의 강도가 높아질 경우, 유가상승 압력과 함께 금값은 새로운 상승 모멘텀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다. 일부에서는 휴전 협상이 이뤄지고는 있으나 갈등의 골이 깊은 상황에서 쉽게 안정화되기 힘든 상황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여 금 가격의 탄탄한 지지기반 이슈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단기적으로 $2,030/oz 선을 중심으로 공방전을 지속하다가 중동의 돌발 뉴스, 미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 하락 반전의 영향으로 금값은 강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