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4년 1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906회 작성일 24-01-09 09:59

본문

2024년 1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4.01.08


유동수 사진



금값은 연말 한때 $2,100/oz 선을 돌파 시도하는 강세를 보였으나연초에 들어서면서 하락 반전하는 약세의 흐름을 이어갔다다만 여전히 $2,040/oz 선에서 탄탄한 지지를 받으며 지속적인 상승 기조를 유지했다.

 

 

연말 연준의 기준금리 고점 인식 확산

연준이 12월 회의에서 3번째로 기준금리를 5.5%로 연속 동결하면서 2024년도에는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됐다이러한 분위기 속 2023년 금 가격은 전년 대비 16% 상승하면서 여전한 상승 기조를 유지하며 막을 내렸다이후 연초 관망세 속에서 고용과 실업 관련 지표가 양호하게 발표됐고기준금리의 인하 시기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 나왔다이에 국제 금값은 더 이상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약보합세를 보였다다만 $2,040/oz 선에서는 다소 탄탄한 저가 매수세가 진입하면서 하락세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연초 상승 기대감 약화

연준의 FOMC 회의록에서 인플레이션 상승세에 대한 우려감이 여전히 강하게 표출되었다이에 기준금리의 인하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 있다는 인식이 시장에 반영됐다당분간은 인플레이션의 추이를 보면서 다시 긴축정책으로 돌아설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의 인하보다는 유지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추측된다또한 주요 경제지표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급하게 긴축정책을 철회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위기다이러한 우려감이 연초 금값의 약세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전망

단기적으로 $2,040/oz 선에서 탄탄한 지지선을 형성한 상황에 강력한 악재가 반영되지만 않는다면 $2,000/oz 선에서 심리적 지지선을 형성할 것으로 분석된다여전한 고금리 상황 속 경기 둔화 또는 침체가 예상되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은 높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반영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현재까지도 인플레이션이 3%가 넘는 수준이기 때문에 금값에는 우호적인 상황이다.

 

 

또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후티 반군이 홍해 지역에서 미국과 상선을 공격하면서 호르무즈 해협의 해양 노선을 봉쇄한다면 미국이 직접 개입할 여지가 있다따라서 전쟁의 확대는 금 가격에 상당한 강세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또한 이란까지도 이 전쟁에 합세하게 된다면 러-우전쟁처럼 장기화될 것이기에 국제 금값은 상당 기간 강세의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된다다만 현재의 높은 금 가격 수준에서 이리적인 차익 매물의 등장을 배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기도 하다.

 

 

단기적으로 $2,040/oz 선에서 탄탄한 심리적 지지를 받으며 홍해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과 미 달러화 하락그리고 금리 시장의 안전 흐름 영향 등으로 금값은 다시 강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