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3년 12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064회 작성일 23-12-28 14:43

본문

2023년 12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3.12.27


유동수

gold price graph


금값은 한때 $2,000/oz 선이 무너지는 약세를 보였으나 이후 바로 반등하여 전반적으로 $2,040/oz 선 중심에서 상승 흐름을 유지하는 강보합세를 보였다다만 큰 폭의 상승 흐름을 보이진 않았고 연말 기대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2 FOMC 회의에서 파월 의장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미 연준의 12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5%로 동결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연속적으로 3번째 회의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했던 결정이었기 때문에 크나큰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금리 수준이 정점에 이르렀음을 시사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당분간 인플레이션의 상승률이 다시 의미가 있는 수준까지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면 금리의 하락흐름에 더 무게를 둘 수 있기 때문에 금 가격에는 탄탄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이러한 흐름 속 미 달러화 지수는 102, 10년 물 국채수익률은 4%대가 무너지는 약세를 보였는데이는 금 가격에 상승 요인이었다또한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도 기준금리 동결 흐름에 합류했다.  

 

 

미 경제지표 둔화 흐름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경기 둔화를 암시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이 국제 금 가격의 상승세에 영향을 주었다미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소매판매 3분기 GDP, 개인소매지출(PCE) 등 주요 경제지표가 둔화 흐름을 보였다이는 단기적으로 경기가 둔화 또는 침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다만실업과 고용지표는 현재까지는 매우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연준은 정책적으로는 부담이 다소 낮은 상황이었다대체적으로 연말 휴가시즌으로 인하여 시장 거래량은 다소 낮은 상황에서 관망세를 형성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전망 
연말의 한산한 거래량 속에서 관망 분위기를 이어오고 있는 국제 금값은 특별한 호재나 악재가 부재한 상황에서 소폭의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미 달러화와 국채수익률은 단기적으로 중폭 하락한 상황이기 때문에 상승 반전의 여지가 있는 것이 국제 금 가격의 상승 흐름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다만심리적으로 내년도의 경기 전망이 다소 부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이 금값의 상승 흐름에는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팔전쟁과 러우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인 위험을 반영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다소 약해진 상황이다그렇기 때문에 전쟁의 양상이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전쟁 확대 또는 미국의 전쟁에 대한 직접 개입 등의 새로운 뉴스가 없다면 $2,000/oz 선이 넘은 상황에서 급격한 안전자산 수요의 시장 진입은 다소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2,0 00/oz 선 이상의 가격대에서 거래가 지속되면서 $2,000/oz 선이 오히려 탄탄한 지지선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적으로는 연말의 한산한 거래량 속에서 내년도 경기의 부정적인 전망이 긍정적인 전망보다 높은 상황이다이는 자산 포트폴리오상 안전자산 비율의 증가 흐름에 영향을 주면서 소폭이지만 강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