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789회 작성일 23-10-20 09:33본문
2023년 10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3.10.19 |

최근 발표되고 있는 경제지표가 인플레이션 상승률 하락 흐름이 둔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미국 연준의 매파적 긴축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미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국제 금 가격에 강한 악재로 작용을 했다.
특히 이러한 고금리 이자율 수준이 상당 기간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금 시장에 대한 매력을 상쇄하게 한 것이 국제 금 가격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주요 요인이 되었다. 이와 함께 미 달러화가 이전 수준보다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것 또한 금값의 하락세에 일조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지난 7일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를 실효 지배하고 있는 하마스(Hamas)가 이스라엘에 5,000발의 로켓을 발사하면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발발했다. 이에 이스라엘군의 반격이 시작되면서 중동의 팔레스타인 지역의 전쟁은 크게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렇듯 팔레스타인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확대되었던 것은 국제 금 가격이 크게 반등하는데 주요 요인으로 작용을 했다. 9월 말 미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하락했던 국제 금값은 전쟁의 발발로 인하여 하락 폭이 이전 수준까지 회복하는 상승 반전을 보였다.
전망
최근 러-우 전쟁을 시작으로 이-팔 전쟁까지 발발하면서 세계 주요 분쟁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가 크게 확산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과 대만 간의 분쟁과 남중국해 분쟁, 북한의 도발로 인한 긴장감까지도 여전히 잠재하고 있어 최근 국제 금값은 전쟁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 상승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분쟁의 흐름은 계속 진행 중이며 확산 가능성도 높아 금값 상승 요인의 시장 반응은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간의 문제가 아닌 장기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의 탄탄한 지지 요인으로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미국의 소비자(CPI)·생산자(PPI) 물가지수와 소매 판매지수 등 여러 수치들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발표되고 있는 것은 금값에는 부담스러운 요인이 되고 있다. 만약 인플레이션 상승률 둔화 흐름이 멈추고 높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유지된다면 기존의 매파적 정책을 더욱더 공고히 하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금 가격에는 악재로 작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수준이 이미 거의 고금리 수준에 도달한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보다는 고금리 수준이 얼마 동안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여부가 금 가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단기적으로는 지정학적인 위험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 상승이라는 호재가 탄탄한 지지 요인으로 자리매김을 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대한 경제 지표가 악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위험자산보다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우위인 상황에서 $1,900/oz 대 초반에서 심리적인 지지를 받으며 $1,960/oz 선을 중심으로 탄탄한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