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558회 작성일 23-08-18 11:22본문
2023년 8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3.08.17 |

미국과 유럽 기준금리 인상
미국 연준과 유럽의 중앙은행이 0.25%의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기존의 긴축정책을 이어갔다. 미국 연준의 경우 추가 인상에 대한 여지를 남겨뒀지만, 유럽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의 중단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로 일본 중앙은행은 지금까지 추진해왔던 양적완화 정책에서 미미하지만 긴축정책으로 선회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금 가격의 약세에 영향을 주었다. 다만, 9월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금융시장의 흐름은 미국과 유럽 모두 다소 유보적인 입장이다. 또한 일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의견도 도출되면서 금리 인상의 흐름이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시사하는 분위기다.
물가지수 경제지표 약화
미국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의 하락 흐름이 멈추고 소폭 상승했다. 여전히 미국과 유럽은 2%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에 도달할 때까지 긴축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물가지수의 상승은 금 가격에는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 다만, 그 상승 폭이 아직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고,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는 오히려 소폭 하락했기 때문에 연준과 유럽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상승률 통제가 어느 정도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전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과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의 소폭 상승이 금 가격에는 약세 요인이 되었다.
전망
일반적으로 금 시장에서 8월은 여름 비수기(Summer Doldrum) 시즌으로, 금 가격이 약세 흐름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최근 흐름도 기준금리 인상과 물가지수 악화 발표 영향으로 금 가격이 약세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하락 이후에 현재 기술적 분석상 심리적인 지지선인 $1,900/oz 선 기반에서 저가 매수에 의한 반등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전에 11차례의 높은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경제에 반영되면서 여전히 올 하반기 경기 둔화와 침체의 가능성 역시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경제 흐름이 금 가격에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에는 미국의 중소은행 5곳이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등 일부 금융권의 신용 경색 흐름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전히 중국발 부동산 기업의 신용 경색도 잠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러-우 전쟁의 여파 역시 주변 국가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기에 현재의 심리적 지지선인 $1,900/oz는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이 선을 기반으로 중앙은행의 저가 매수 진입이 예상되는 시점이다.
단기적으로 특별한 뉴스가 부재한 가운데 현재 가격대에서 기술적인 분석상 하락 후 반등하는 반등 조정 흐름이 예상된다. 또한 미 달러화의 하락 반전도 예상되기 때문에 금 가격의 상승 전환에는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