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하순 금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783회 작성일 23-06-29 09:06본문
2023년 6월 하순 금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3.06.28 |

금값은 강한 박스권 흐름이 5월 중반부터 시작된 이후 한 달 반가량 지속되고 있다. 이후 6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1,940/oz 선이 무너지고 한때 $1,910/oz 선까지 하락했지만, 다시 $1,900/oz 대 초반에서 상승 반전하여 소폭이지만 강보합세를 형성했다.
미국의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발표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일정한 정도 완화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목표치인 2%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에는 미치지 못하는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매파적 긴축정책이 예상되었다. 소매 판매 지수도 매우 양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준의 긴축정책 흐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다만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은 금 가격의 지지 요인으로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 지역은행이 일부 파산했다. 그 여파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흐름에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일부 경제 지표가 경기 흐름이 둔화 또는 침체의 신호를 보이고 있었던 것도 매파적 긴축정책 추진 흐름에서 한숨 쉬어가는 흐름으로 이어갔다. 이러한 분위기에 6월 FOMC 회의에서도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고 금리 동결 조치로 한숨 쉬어가고 있다. 또한 중앙은행과 헤지펀드 등의 큰손들에 대기 매수 물량이 일부 진입되면서 $1,900/oz 초반에서 바닥 다지기 이후에 상승 반전하는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어느 정도는 완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준은 베이비 스텝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두 번 정도는 추가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또한 올해 안에는 금리 인하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준의 여전한 매파적 긴축정책 분위기는 금 가격에는 악재가 될 것이다. 다만 이전에 연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추진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강한 금리 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 가격의 하락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인플레이션 상승률
미국의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발표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일정한 정도 완화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목표치인 2%대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에는 미치지 못하는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매파적 긴축정책이 예상되었다. 소매 판매 지수도 매우 양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준의 긴축정책 흐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다만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은 금 가격의 지지 요인으로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FOMC 회의 - 금리 결정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 지역은행이 일부 파산했다. 그 여파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흐름에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일부 경제 지표가 경기 흐름이 둔화 또는 침체의 신호를 보이고 있었던 것도 매파적 긴축정책 추진 흐름에서 한숨 쉬어가는 흐름으로 이어갔다. 이러한 분위기에 6월 FOMC 회의에서도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고 금리 동결 조치로 한숨 쉬어가고 있다. 또한 중앙은행과 헤지펀드 등의 큰손들에 대기 매수 물량이 일부 진입되면서 $1,900/oz 초반에서 바닥 다지기 이후에 상승 반전하는 흐름을 이어갔다.
전망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어느 정도는 완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준은 베이비 스텝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두 번 정도는 추가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또한 올해 안에는 금리 인하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준의 여전한 매파적 긴축정책 분위기는 금 가격에는 악재가 될 것이다. 다만 이전에 연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추진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강한 금리 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 가격의 하락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시장 변화로 추가적인 악재가 없다면 기술적 분석상 현재의 가격대에서는 저가 매수가 진입하기 좋은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중국과 일본을 제외하고 미 연준과 유럽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여파로 하반기부터 경기의 둔화 또는 침체의 흐름이 예상되기 때문에 금 가격이 상승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국 통화 정책당국은 여전히 금리 인상이라는 매파적 정책을 쓰고 있지만 거의 한계점에 다다르기 시작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강력한 구두 개입을 통해서 시장에 경고만 할 뿐 더 이상의 강력한 매파적 긴축정책을 추진할 만한 여건이나 카드가 별로 없다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더불어 미 달러화의 상승 흐름도 제한적인 상황이라 $1,900/oz 선 초반 바닥 다지기 이후 상승 반전 흐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960/oz 선까지는 무난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