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의 비중(SG)은 왜 중요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08회 작성일 25-05-23 09:06본문
보석의 비중(SG)은 왜 중요한가? |
등록일 : 2025.05.12 |

실제로 다이아몬드와 큐빅 지르코니아는 비중 차이가 크기 때문에 1캐럿 사이즈라면 손으로도 그 중량 차이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비중(Speci fic Gravity)은 보석의 색상과 가치의 범주까지는 아니더라도 보석의 구매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예를 들어 에메랄드의 경우에는 비중이 2.72로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사파이어나 루비에 비해 중량 대비 질량이 훨씬 큰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같은 1캐럿이라도 사파이어나 루비에 비해 에메랄드가 선호되고 있으며, 실제로 에메랄드는 1캐럿 미만도 인기리에 유통되고 있다. 반면 사파이어나 루비(비중 4.00)는 다이아몬드(비중 3.52)에 비해서도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같은 중량이라도 다이아몬드에 비해 작으며 에메랄드에 비해서는 그 크기가 훨씬 작다. 따라서 업자들은 루비나 사파이어는 적어도 1.5캐럿은 되어야 상품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말하곤 한다.
이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비중은 감별의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멜리 다이아몬드의 경우 가끔 큐빅 지르코니아와 섞여서 유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의도적이건 실수이건 간에 일일히 하나씩 현미경이나 다이아몬드 테스터기로 감별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때 보석감별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저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우선 멜리 다이아몬드를 체(Sieve)를 이용해 같은 크기로 구분한 후 사토리우스와 같은 전자저울을 사용해 무게를 측정하면 가짜 멜리 다이아몬드를 금새 구분해 낼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귀금속을 구분하는데도 비중은 큰 역할을 한다. 은의 비중은 10.49, 금은 19.32, 플래티넘은 21.40 등이며 귀금속 이외에 최근 들어 주얼리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티타늄은 4.50, 텅스텐 19.60, 브라스 8.40, 스틸 7.48 등이다. 특히 텅스텐의 경우에는 금과 비중이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텅스텐으로 주얼리를 만들면 골드 주얼리와 같은 중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백금 도금한 실버반지와 백금반지는 무게 차이만 두 배가 나기때문에 손으로 들어만 봐도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 김태수 편집장
사진 출처: 젬키 www.diamonds.co.kr/gemkey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