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다이아몬드 시장 침체, 경제 불안 우려 때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815회 작성일 23-05-08 09:42

본문

다이아몬드 시장 침체, 경제 불안 우려 때문



- 금리 인상, 인프레이션 상승, 은행 위기 등 영향 -
등록일 : 2023.04.25


20230415그래프2


3월 다이아몬드 시장이 느린 흐름을 보였다미국의 경제 불안과 중국의 성장 속도 둔화가 원인이었다금리 인상인플레이션 상승은행 위기 등도 영향을 미쳤다.

 

 

RAPI(랩넷다이아몬드가격지수)를 보면 1캐럿 다이아몬드 지수는 3월에 1.6%, 1사분기에 2.6% 하락했다반면, 0.3캐럿의 3월 지수는 이 품목의 주요 시장인 중국의 회복에 힘입어 안정을 유지했다. 0.3캐럿의 경우 작년 연마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재고가 줄어들었다.


 

시장 분위기는 개선됐다홍콩국제주얼리쇼에 코로나바이러스 제한 조치 시행 이후 오랫동안 모습을 볼 수 없었던 중국 바이어들이 나타나자 이를 업계가 복귀의 신호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한편쇼의 초기 분위기는 활발했지만 중국 바이어들은 구매를 서두르지 않았다아직까지는 보복 수요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20230415그래프




나석 재고는 여전히 사상 최고 수준이지만 인기 품목의 재고는 줄었다랩넷 판매 리스트에 올라 있는 다이아몬드 나석 수는 3월에 3% 감소, 4 1일 현재 172만 개를 기록 중이다팬데믹 전인 2020 3 1일보다 여전히 10% 높은 수준이다.

 

 

나석 생산량은 낮게 유지되고 있다인도의 2023 1~2월의 중량 기준 원석 수입은 작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연마 업체들의 이윤은 스몰 사이즈 다이아몬드 원석 가격이 1사분기에 30%(예상 수치상승함에 따라 전보다 타이트해졌다.

 

 

다이아몬드의 공급 체인은 책임 있는 방식으로 생산되었음이 보증되는 원석과 그렇지 않은 원석으로 이분되고 있다. 5월 중순으로 예정된 G7 서밋을 앞둔 G7 국가들은 자국 업체들에게 거래하는 다이아몬드가 러시아산이 아님을 증명하도록 요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해당 조치가 시행되면 러시아산 원석에서 생산된 나석의 주요 G7 국가 진입 제한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새로운 제재가 시행될 경우 시장 분리가 가속화되어 G7 국가 소비자들의 인기 상품 구매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특히 하반기 수요가 개선될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라파포트 뉴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