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446회 작성일 23-03-21 10:48본문
2023년 3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3.03.20 |

미 연준 파월 의장이 국회에서 매파적 긴축정책 견해 발언
미 연준은 인플레이션의 상승률 둔화 움직임이 연준의 목표인 2% 상승률까지 도달하기에는 여전히 힘겨운 상황이라고 인식하면서 연일 시장에 강경한 구두 개입을 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목표가 완성되는 흐름이 나타나기까지 경기가 일부 침체가 되더라도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조치를 계속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파월 의장을 포함한 다수의 의원들의 견해와 같은 상황이다. 이러한 연준의 매파적 긴축정책 추진 발언으로 국제 금 가격은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미국의 중견은행인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이 파산하고.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역시 파산 직전인 상황이 알려지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급등했다. 이에 국제 금 가격은 2영업일 사이에 $90 가까이 급등하는 상승세를 보였다. 여전히 미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고, 미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도 하락하면서 국제 금 가격은 $1,900/oz선 초반에서 매우 탄탄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전망
현재 미국의 경제지표는 높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제외하고는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발표되고 있다. 또한 고용과 실업률 역시 거의 완전고용 수준의 완벽한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제 흐름의 기반으로 미 연준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강경한 매파적 긴축정책에 대한 구두 개입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큰 폭으로 상승한 이후이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이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가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금의 미국 금융시장은 은행 파산의 여파로 극도의 불안감이 잠재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은행 파산의 원인이 국채에 투자하며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손해를 본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은행의 피해 규모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이다. 또한 미국 정부가 예금자에 대한 은행 자금을 보장해 주는 신속한 조치를 취하면서 더 이상의 큰 파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즉, 금융시장의 혼란이 더 이상 크게 확산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폭등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또 다른 중견은행이 추가로 파산하게 된다면 미 금융시장은 엄청난 혼란을 겪게 될 것이기에 $2,000/oz 선을 돌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단기적으로 미 금융시장의 불안감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의 증가라는 호재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이라는 악재가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해소되며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악재로 인해 약보합세를 보인 후 $1,880/oz선 중심에서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