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3년 2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408회 작성일 23-02-01 09:15

본문

2023년 2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3.01.31


유동수-사무실사진1



작년 11월 말부터 시작한 국제 금 가격의 상승 흐름이 1월 말까지 거의 두 달 동안 이어지고 있다일부 소폭의 조정국면은 있었으나 상승 흐름을 후퇴시키거나 강한 조정국면 없이 꾸준히 일관된 흐름을 보이면서 상승 기조를 형성했다.

 

 

주요 이슈

인플레이션의 둔화 흐름

연말부터 연초까지 미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의미 있는 수준까지 빠른 둔화 흐름을 보였다이러한 인플레이션 상승세의 둔화 흐름은 미 연준(FOMC)의 매파적 긴축정책 기조에 영향을 미치면서 국제 금 가격의 상승 흐름에 기반이 되었다또한 연준 위원들의 다소 완화된 매파적 발언 역시 시장에 영향을 끼쳤다다만연준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목표치에 비해 현저히 미달된 상황이다현재까지는 인플레이션의 상승세로 인한 금 가격의 상승세가 다소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이 금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미 달러화의 하락 흐름

유럽과 캐나다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의 경제 정책도 높아진 인플레이션 상승세를 저지하기 위해 이전보다는 다소 강한 매파적 긴축정책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미 달러화의 상승세는 하락 반전했고미 달러화 지수는 거의 100선으로 다시 회귀하는 분위기다미 달러화의 하락 흐름은 국제 금 가격이 상승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또한 중국의 코로나19로 인한 도시봉쇄 해제 조치를 통해 중국의 금 현물 수요 상승 예상 기대도 금 가격의 상승세에 일조했다.

 

 

경기 침체 우려감 증가

2023년도가 시작되면서 전 세계 경제에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됐다이미 경기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경기 침체로 인한 자산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한 안전자산 수요 상승 흐름이 지속적으로 시장에 형성되고 있다다만너무 급하게 금 가격이 상승한 후이기 때문에 차익실현 매물 등 조정국면 속에 경계 매물이 일부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망

현재로선 미 연준 입장에서 여전히 목표 인플레이션 상승률인 2%까지 도달되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상황이다또한 매파적 긴축정책의 숨 고르기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다만작년에 7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4.5%의 매우 높은 기준금리 수준이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이 되었다이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 인플레이션의 상승세가 다소 완화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움직임을 잠시 멈추고 지켜볼 여지가 있는 상황이 되고 있다매파적 긴축정책의 행보가 다소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금 가격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또한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다소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위기로 인해 미 달러화가 하락흐름을 형성했다이러한 미 달러화의 하락세는 국제 금 가격에 가장 강력한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또한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의 정책 정환 흐름과 중국의 도시봉쇄 조치 완화가 불러온 경기 회복 흐름으로 인한 현물 수요 증가의 기대가 금 가격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거의 두 달간에 큰 폭의 조정국면 없이 꾸준히 상승해 온 금 가격은 단기간 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높다높은 가격으로 인한 부담으로 인해 차익매물과 경계매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그렇기 때문에 상승세 이후 조정국면 속 소폭 하락세가 예상되는 시점이다.

 

 

차트상으로 금 가격은 $1,910/oz선에서 1차 지지선이 형성되고 있고, 1차 저항선으로는 $1,940/oz에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다만, $1,900/oz 선에서 여전히 심리적으로 강한 지지선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큰 폭의 하락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