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368회 작성일 23-02-16 09:09본문
2023년 2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3.02.15 |

2023년도 초반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국제 금 가격이 2월 초순이 시작되면서 급락하면서 큰 폭의 조정국면이 형성되었다. 이후 $1,870/oz를 중심으로 박스권이 형성되어 소강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FOMC 베이비 스텝(0.25%) 기준금리 인상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작년에 이어 계속되고 있다. 큰 폭은 아니지만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국제 금 가격에는 악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의 인상 정책에 대해 속도 조절론이 오히려 더 부각되면서 국제 금 가격은 여전히 상승 흐름을 보였다. 다만 주요 연준 위원들이 인플레이션을 바라보는 시각이 여전히 매우 높다고 판단하고 있고, 상당 기간 고금리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류는 금 가격에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용과 실업지표의 양호한 발표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가 매우 양호하게 발표되고 있고, 실업률 또한 3.4%로 거의 완전 고용에 가까운 수준의 고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고용과 실업에 대한 양호한 경제지표가 연준의 매파적 긴축정책에 힘을 실어주는 효과를 주고 있기 때문에 2월에 들어서면서 국제 금 가격이 급락하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불어 11월 말부터 상승해 온 국제 금 가격이 너무 높게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한 차익 실현과 경계성 매물이 하락의 폭을 증폭시킨 역할을 하기도 했다. 큰 폭 상승 후 조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전망
현재 국제 금 시장은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되기 이전에 큰 폭 하락 이후 관망세를 보이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 여전히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긴축정책에 대한 강한 구두 개입이 국제 금 가격의 상승 흐름에 제동을 걸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상승률 수준이 매우 높고, 물가의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디스인플레이션 경제 정책이 상당 기간 이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사전 지표로 볼 수 있는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의 하락세로 비추어 볼 때 2월의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여전히 하락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그 하락 폭이 의미가 있는 수준으로 하락할 것이냐의 여부가 국제 금 가격의 향방을 크게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시점에서는 고용과 실업지표가 양호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물가지수의 상승률 수준이 양호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에는 매우 긍정적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트상으로 금 가격은 $1,860/oz에서 $1,880/oz 선 사이에서 박스권을 형성한 상황에서 가격 다지기가 된 상황이며, 이 상태에서 하향 또는 상향 돌파할 경우에 새로운 가격 흐름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1,850/oz 선에서 다소 강한 심리적 지지선이 형성된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국제 금 가격은 탄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