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3년 3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438회 작성일 23-03-03 09:26

본문

2023년 3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3.02.28


유동수-사무실사진1



2023년도 금 가격은 2월 시작 시점에 급격한 하락세를 형성한 이후에 중순에도 연일 초순의 하락 흐름을 유지하면서 올 초에 시작했던 가격대인 $1,820/oz 수준까지 하락하여 연초의 상승 폭을 반납하는 수준까지 약세를 보였다.

 

 

미 인플레이션 상승률 둔화 흐름 정체

미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 판매 경제지표 등 인플레이션의 상승률 둔화 움직임이 시장이 예상했던 것보다 낮게 발표되어 미 연준(FOMC)의 매파적 긴축정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제 금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2월 초 0.25% 베이비 스텝 수준의 금리 인상과 고용과 실업지표의 호조로 인해 국제 금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이후에 2월 말까지 연일 악재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었다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상승률 둔화 움직임이 다소 늦어지고 있어서 목표 인플레이션 2% 수준까지 도달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연준(FOMC)이 보다 강력한 매파적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하는 인식이 팽배해진 상황이다.

 

 

FOMC 회의록 발표

지난 22일 발표된 FOMC 회의록에서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긴축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둔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재확인되면서 국제 금 가격의 하락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다또한 최근 긴축정책에 대한 의지를 담은 빈번한 연준 위원들의 시장 구두 개입 영향으로 국제 금가 격은 전반적인 약세 기조를 형성하기도 했다최근 미국의 양호한 경제지표와 더불어 탄탄한 고용시장과 실업 상황 및 소비 경제의 양호한 수준이 긴축정책에 무게를 두면서 국제 금 가격이 약세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전망

미 달러화 지수가 다시 105선을 회복하는 강세 흐름을 유지하고 있지만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있다중국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벗어나 중국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 달러화의 상승세는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일본의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대응 차원의 금리정책 전환도 예상되는 상황이다이전의 초 강달러 현상이 다시 재현되기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큰 폭의 하락 이후에 저가 매수세 진입과 $1,800/oz 초반에서 중앙은행의 매수세가 대기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또한 지정학적 이슈와 중국의 경제 재개 흐름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도 현재 시점의 가격대에서 다소 강한 지지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다만, 3월 22일에 추가적인 연준(FOMC)의 기준금리 인상 뉴스가 예고되고 있어 금 가격의 상승세에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차트상으로는 $1,810/oz에서 $1,850/oz 선 사이에서 공방전 이후 $1,860/oz 선까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4주간의 급격한 하락 이후에 $1,800/oz 선을 기반으로 저가 반발매수세로 가격 흐름이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