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5년 5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52회 작성일 25-05-13 09:14

본문

2025년 5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5.05.12


유동수 사진


금 가격 움직임 
최근 국제 금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4월 중순 온스당 3,500달러에 근접했던 금 가격은 4월 말 급락하며 한때 3,200달러 이하로 떨어질 뻔했으나, 5월 초 다시 반등해 3,400달러 선을 회복했다.

 

 

상호 관세협상 해결 기대감
4월 중순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안감이 커지며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이는 금 가격의 가장 큰 지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하지만 4월 말 일부 국가와의 관세 협상 타결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차익 매물이 출회되었고금 가격은 하락반전했다그러나 현재 미국과 중국 간 실무 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나 큰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안전자산 선호와 중앙은행 매수세 
금 가격이 3,200달러에 근접했을 때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었고헤지펀드와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이어지며 반등이 발생했다.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특히 경기 침체 우려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중동 분쟁인도-파키스탄 지역 갈등이 금 가격 상승을 자극했다.

 


6개월 금 추이

5년 금 추이

 


전망 
최근의 지정학적 위험의 상승이 금 가격의 주요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된다특히 폴란드카자흐스탄체코헝가리 등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국가에서 여전히 금 매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아시아의 금 현물 수요 2위 국가인 인도-파키스탄 갈등도 실물 금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미국 달러화와 국채의 약세헤지펀드와 중앙은행의 금 매입세가 단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미국 경기 지표의 침체 신호와 인플레이션 위험 역시 금 가격 상승의 잠재적 요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이 긍정적으로 마무리되거나 현재의 높은 금 가격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증가할 경우금 가격의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장은 여전히 상승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