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973회 작성일 25-02-27 09:04본문
2025년 2월 하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5.02.26 |


국제 금 가격이 $2,900/oz 선을 단숨에 돌파하는 초강세 흐름을 지속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여러 차례 되풀이하고, 돌파하는 강세를 보였다. 이후 $3,000/oz 선 돌파를 앞에 두고 소강국면으로 전환되면서 보합세를 보였다.
정치경제적 지정학적 위험 상승
미 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인플레이션과 경제의 불확실성이 상승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급격하게 상승했다. 이것이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 흐름이 무역과 환율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이 금 가격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또한 미 달러화의 상승 흐름이 하락반전했던 것도 금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와 미국의 금 현물 수요 상승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세계 주요 선진국의 중앙은행이 금 현물 매수를 늘리면서 세계적으로 금 현물 부족현상을 만들었던 것이 금 가격의 상승세를 부추겼다. 또한 미국 경제지표가 인플레이션 상승 흐름을 보였던 것도 기준금리 인하 정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전통적인 경제 논리 흐름으로는 금값의 상승세에 영향을 주었다. 다만, 미국과 러시아의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회담이 시작되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다소 완화되었던 것이 금 가격에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전망
미국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정책이 단기적으로 시행을 유예한 상황이지만, 여전히 경제와 무역에 매우 불안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국제 금 가격에는 상승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에 대한 통제권 유지를 위해 트럼프가 분쟁과 논쟁을 시작하고 있는 것도 정치적인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국제 금 가격에는 긍정적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계 주요 중앙은행의 매수세가 $3,000/oz 선 돌파 이전에 다소 주춤한 상황이지만 여전히 매수 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2,850/oz 선에서 $2,900/oz 선 초반에서 저가 매수로 진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미 달러화 하락 흐름으로 전환된 것도 금 가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트럼프와 푸틴 간에 러우전쟁에 대한 종식의 청사진을 발표하게 되면 국제 금값은 현재의 사상 최고치의 가격대에서 다소 후퇴할 가능성도 상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여전히 국제 금값은 $3,000/oz 선 돌파시도를 위한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