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고물가에 위축된 패션 주얼리 시장… 전례 없는 침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405회 작성일 25-02-03 09:14

본문

고물가에 위축된 패션 주얼리 시장… 전례 없는 침체기



- 소비 위축 속에서도 평균 구매가 상승, 소비 양극화 심화돼 -
등록일 : 2025.01.31


2025.01.24 [이미지] 패션주얼리소비자조사2024_on



()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이하 월곡연구소)가 공개한 패션주얼리소비자조사 2024에 따르면 국산 패션 주얼리 시장이 경기 불황과 고물가로 전례 없는 침체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국산 패션 주얼리 시장 규모는 전년 조사 대비 17.0% 감소한 5,753억 원(수입 시장 제외)으로 집계됐다경기 불황과 고물가로 인해 소비 여력이 줄어들면서 비필수 소비재인 패션 주얼리 소비가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패션 주얼리 구매율역대 최저치 기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조사 시점 기준패션 주얼리 구매율은 13.4%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이는 2020년 구매율인 19.4%와 비교했을 때 무려 30.9%가 감소한 것으로, 5년간 약 243만 명의 구매 인구가 줄어 조사 시점에는 약 585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조사 대상자들이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는 패션 주얼리에 관심 없음(54.1%)’과 불필요한 소비 절감(12.0%)’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이는 불황기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는 과정에서 패션 주얼리 카테고리가 소비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시장 위축 속에서도 양극화 심화

그럼에도 패션 주얼리 구매자들의 평균 구매가와 개수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최근 1년간 구매한 패션 주얼리의 평균 가격은 63,416원으로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 소재의 경우 원자재 값 상승으로 87,254원을 기록최고치를 경신했다.

 

 

또한 수입 브랜드 제품과 백화점에서의 평균 구매가는 큰 폭으로 상승하며소비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남성의 브랜드 제품 선호도는 39.2%로 여성(15.0%)보다 높았고, 20대의 브랜드 제품 선호도는 20.6%로 가장 높았다평균 구매 개수는 1.77개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패션 주얼리 소비 주력층인 여성(1.86)’과 ‘20(2.17)’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개성 표현을 위한 소비젊은 세대 중심으로 유지

패션 주얼리를 구매하는 주요 목적은 나만의 개성 표현(48.4%)’과 기분 전환·즐거움(27.3%)’으로 나타났다특히 20·30대의 소비자층에서 나만의 개성 표현을 구매 목적으로 꼽은 비율은 과반을 넘겼다이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패션 주얼리를 통해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수요가 꾸준히 존재함을 시사한다또한 구매 결정 요인으로는 디자인과 스타일(79.1%)’을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온라인 채널 성장 둔화

온라인 채널의 구매율은 13.2%로 직전 조사 대비 3.8%P 감소하며 성장세가 둔화됐다그러나 ‘20(18.3%)’와 ‘30(14.2%)’가 여전히 높은 온라인 구매율을 보였다패션 주얼리 접촉 경로로는 주변 지인 추천이 3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이는 온라인 광고보다는 실제로 제품을 이용한 지인의 추천이 주얼리 구매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구매량에 대해 증가를 예상하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20대 소비자들은 향후 구매량 예상에도 긍정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또한 향후 패션 주얼리 구매량 변화 지수는 102(Increase Zone)향후 구매량 증가 가능성을 시사했다대체로 구매량 변화 지수가 긍정적인 경우구매량과 구매율이 상승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올해가 작년보다는 더 나은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월곡연구소의 차지연 책임연구원은 고물가와 소비 심리 위축의 영향으로 패션 주얼리 시장에서도 불황형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라며, “비록 시장은 위축됐지만여전히 패션 주얼리 구매는 개성 표현과 스타일에 대한 수요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또한 단기적인 판매 확대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소비자 경험을 개선하고 충성도를 높이는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전하며경기 회복 시점에 소비 심리와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는 브랜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패션주얼리소비자조사는 국내 패션 주얼리의 규모를 파악하고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와 시장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해 2015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는 전국 단위의 소비자 조사이다월곡연구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시행된 이번 조사는 전국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편패션주얼리소비자조사 2024에서는 구매 수량 구매 가격의 변화 구매 장소 등 소비자의 일반적인 소비 이용 행태 확인이 가능하며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본 조사 결과는 월곡재단 홈페이지(‘연구자료’)에서 회원가입 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또한 세부적인 조사 데이터는 주얼리 소비자 웹 리포트 서비스(https://w-jewel.or.kr/jewelry_web_report)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김영윤 기자

ruby@diamonds.co.kr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