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5년 1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805회 작성일 25-01-07 15:55

본문

2025년 1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등록일 : 2025.01.07


유동수 사진

금 그래프

금 가격 움직임
금값은 12월 중순 이후에 연말까지 약세 흐름을 이어갔으나 $2,600/oz 선을 유지했고연간 27% 정도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024년을 마무리했다새해가 시작되면서 다시 상승 흐름이 재개되는 강세를 보였다.

 

 

연초 안전자산 수요 상승 
지난 연말 한산했던 시장 상황이 연초에는 안전자산 수요의 진입으로 인해 변화의 흐름을 보였다세계 주요 은행들이 여전히 금 보유 매수세를 진행할 것이라는 분석이 대두되면서 연초의 강세에 더욱 영향을 주었다또한 중동과 러우전쟁이 여전히 격화되고 있는 것도 금 가격의 상승세에 기본 근간이 되는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 연준 기준금리 0.25% 인하와 미 달러화 강세 
미 연준이 12 FOMC 회의에서 0.25%의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2025년도에는 더 이상 큰 폭의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렵다는 시장 반응으로 오히려 국제 금값에는 약세 요인이 되었다또한 트럼프 2기 정부의 매파적 정책 흐름의 영향으로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이 금 가격에는 또 다른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망 
연초 상승 흐름으로 출발한 국제 금값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흐름에 따라 적어도 1월 한 달간은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고율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상승이 야기될 수 있어 기준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이는 국제 금 가격에 강세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더불어 트럼프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감은 꾸준히 금값에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다른 측면으로 보면 급격하게 상승한 미 달러화 지수도 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이고중동과 러우전쟁도 계속해서 격화되고 있어 금 가격은 꾸준히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트럼프 정부의 중동과 러우전쟁 종식을 위한 행보가 높은 확률로 진행된다면 국제 금값은 다소 크게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역시 강한 관세 정책에서도 한발 물러난 행보를 보인다면 하향 안정화 흐름을 이어갈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