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39회 작성일 25-09-11 14:16본문
2025년 9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
글: 유동수 오스트코 미네랄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
등록일 : 2025.09.10 |


고용과 실업 지표의 악화
최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상승했고, ADP 고용보고서도 악화로 발표됐다. 이처럼 고용 및 실업 지표가 매우 부정적으로 발표된 것이 금 가격의 상승세에 주요 원인이 됐다. 특히 고용 및 실업 지표의 악화는 매우 민감한 정책 이슈이기 때문에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에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상승 폭도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미국 경제 지표, 경기 침체 및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악화 발표
미 고율 관세 정책의 여파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점차 경제 지표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이에 트럼프 정부는 기준금리 인하를 연준에 강력하게 요구한 상황이다. 하지만 매파적인 쿡 이사의 해임 등 연준과의 갈등을 보이고 있는 것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켜 금값의 상승세에 영향을 줬다.
전망
미국 고용 및 실업 지표의 악화뿐만 아니라 주요 경제 지표가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9월 18일 미 FOMC 회의에서 0.25%의 기준금리 인하가 거의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금 가격은 발표 이전까지 탄탄한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미 세 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상황이고, $3,600/oz 선 직전에서는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급격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러·우 전쟁도 여전히 교착 상태이기는 하지만 물밑 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돌발적인 휴전 뉴스의 가능성도 있어 하락 반전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
단기적으로 금값은 미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정책 발표 이전에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소비자 물가 지수와 소매 판매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된다면 추가적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예상대로 기준금리가 0.25% 인하가 발표되고 향후 유보적인 입장을 보인다면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